unicast : 전송이랑 고유 주소로 식별된 하나의 네트워크 목적지에 1 : 1(one to one) 트래픽 또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식
DNS 서버가 호스트 이름을 IP ADDRESS로 변환하는 역할로 수행하는것 : 정뱡향 조회
DNS : 이름과 IP주소를 변화시키는 프로토콜, TCP & UDP 사용
도메인 내에 어떤 컴퓨터에서 접속하든지 자신이 사용하던 폴더가 그대로 보이도록 하는 정책구성
폴더 리다이렉션
메인보드에 설치 가능한 하드웨어 모듈로, 암호화 보안장치 : TPM
여러사이트에 동기 복제를 제공하며, 장애가 발생하기 전에 백업 데이터로 연결을 넘길수 있는것 : 저장소 복제
500(Internal server error) : 내부서버 오류(잘못된 스크립트 실행시)
501(Not implemented) : 클라이언트에서 서버가 수행할 수 없는 행동을 요구함
502(Bad gateway) : 서버의 과부하 상태
503(Service unavailable) : 외부 서비스가 죽었거나 현재 멈춤 상태
ICMP 메세지 타입 :
목적지까지 데이터를 보낼수 없는 경우
데이터의 TTL필드 값이 0이 되어 데이터를 삭제 할 경우
데이터의 헤더 값에 오류를 발견한 경우
SECURE SHELL PROTOCOL (SSL): 암호화해서 보안을 연결해주는 프로토컬
프로토콜은 링크상태, Dijkstra 상태 알고리즘 : OSPF
F/W = 방화벽
IPS = 침입 방지 시스템
IDS = 침입 탐지 시스템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서 노드들의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노드 : sink
du - 디스크 용량과 사용중인 디스크 용량
free - 사용되고 있는 메모리양 사용가능한 메모리양 표시
show running-config: RAM
show starting-config: NVRAM
'네트워크 관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관리사 필수 암기 (시험대비) (3) | 2022.08.18 |
---|---|
네트워크 관리사 RPM 과 SAMBA (1) | 2022.07.29 |
네트워크 관리사 리눅스 파일시스템 (9) | 2022.07.27 |
네트워크 관리사 리눅스(Linux) (13) | 2022.07.26 |
네트워크 관리사 액티브 디렉터리 (1) | 2022.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