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study 42

모든 브라우저 복사 금지 되어있는 글 복사 방법

모든 브라우저 복사 금지 되어있는 글 복사 방법 글을 쓰거나 수정하다 보면 정말 필요한 내용이나 정보를 복사해야 되거나 복사한 글을 다시 한번 가공해야 될 때가 많습니다. 간혹 중요한 내용이나 정보를 복사 하려는데 복사 방지 or 복사 금지가 되어 있는 경우에 복사 할수 있는 유용한 방법을 알려드겠습니다. 전 세계 3대 웹 브라우저 (크롬, 파이어폭스, 엣지) 더해서 네이버웨일, 사파리에서 모두 똑같이 사용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1. 브라우저에서 복사할 내용이 있는 웹페이지로 이동합니다. 2. F12(개발자 도구)를 누르면 아래 이미지 처럼 소스를 볼 수 있는 창이 뜬다. 3. 빨간색으로 표시한 부분의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항상 Elements가 선택되어 있어야 합니다) 4. 화면에 커서를 옮기면 ..

ITstudy 2023.12.20

내 아이피 확인 (My IP Address) 안전하고 빠르고 쉽게 아는 방법

빠르고 쉽게 내 IP 주소를 확인하는 방법 브라우저 즐겨찾기를 통해 빠르게 확인하는 것은 IP주소를 확인하는 가장 쉽고 빠른 방법 중 하나입니다. webtool.everyday-365.com 개인정보 수집 없이 안전하게 현재 접속한 기기의 공인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제공합니다. 내 아이피 바로 찾기 IP, IP 주소란? IP란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장치를 식별하기 위해 각각의 장비에 부여하는 고유 주소입니다.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서 데이터를 발신하는 곳과 수신하는 곳이 필요합니다. 통신을 위해 부여한 주소가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입니다. 공인IP와 사설IP IP는 사용자 입장에서 ..

ITstudy 2023.12.18

보일러플레이트(Boilerplate code)란? - 개념, 필요한 이유

👋 보일러 플레이트란? 코딩을 하다 보면 의미 없는 코딩을 할 때도 있고 불필요한 작업에 때문에 업무 생산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를 대비해 보일러 플레이트로 기본적인 골격을 미리 만들어서 업그레이드하는 방식이며 불필요한 코드와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다. 개발자에게 보일러 플레이트 란? 코딩에서 보일러 플레이트는 개발자에게 꼭 필요한 요소이다. 직접 타이핑, 반복적인 작업, 하드 코딩 등은 자동화로 맡겨 버리고 꼭 필요한 코딩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법이 보일러 플레이트입니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 create-react-app 활용하면 미리 갖춰진 골격을 주고 개발자는 거기서 원하는 서비스에 맞춰서 개발을 하는 것이다. 만약 create-react-app 없이 첨부터 세팅을 한..

ITstudy 2023.07.12

HTTP Content-Disposition란?

🤷‍♂️ Content-Disposition?일반적인 HTTP 응답에서 Content-Disposition 헤더는 컨텐츠가 브라우저에 inline 되어야 하는 웹페이지 자체이거나 웹페이지의 일부인지, 아니며 attachment로써 다운로드 되거나 로컬에 저장될 용도로 쓰이는 것인지를 알려주는 헤더입니다.  정리하자면?HTTP Response Header에 들어가는 Content-Disposition은 HTTP Response Body에 오는 콘텐츠의 성향을 알려주는 속성 Content-Disposition에 attachment를 주고 filename과 함께 주게 되면 body에 오는 값을 다운로드 받으라는 뜻이 된다. ex: Header 부분에 content-disposition 설정해준다.Conten..

ITstudy 2023.01.26

모놀리식 아키텍처 vs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 모놀리식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란? 모놀리식 애플리케이션은 하나의 통합된 유닛으로 만들어지는 반면,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는 독립적으로 배포할 수 있는 서비스다. 어떤 것이 적합한지는 여러 요인에 따라 다르다. 👀 모놀리식 아키텍처 (Monolithic Architecture)? 전통의 아키텍처를 지칭한다. 소프트웨어의 모든 구성요소가 한 프로젝트에 통합되어 있는 형태. 모놀리식 아케텍처의 경우 모든 프로세스가 긴밀하게 결합되고 단일 서비스로 실행된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의 한 프로세스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 해당 아키텍처 전체를 확장해야 한다. 코드 베이스가 증가하게 되면 모놀리식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추가하거나 개선하기가 더 복잡해진다. 모놀리식 아키텍처 장점 모놀리식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

ITstudy 2023.01.02

DNS(Domain Name System) 개념과 동작 원리

🤳DNS(Domain Name System)? 도메인 이름 시스템(DNS)은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도메인 이름을 머신이 읽을 수 있는 IP주소로 변환한다. 📖DNS 동작 원리? 컴퓨터에서 브라우저에서 www.naver.com 을 입력한다. 컴퓨터는 DNS 서버로 www.naver.com에 맵핑된 IP주소를 물어본다 DNS 서버는 해당 도메인의 IP 주소를 알려준다. 컴퓨터는 이를 받아서 IP주소에 해당하는 컴퓨터에 접속하게 된다. 🤳DNS A타입 레코드, CNAME 레코드, NS레코드? 타입 레코드 설명 A Address Record CNAME Canonical Name Record A recode란? A는 Address의 약자로 도메인네임과 IP 주소를 맵핑할때 사용한다. ex) www.google.c..

ITstudy 2022.11.24

윈도우(windows)에서 포트 검색 및 포트 죽이기

웹 개발 도중 포트 겹침 오류 때문에 포트연결에 오류가 발생했다... 그래서 특정 포트 2000을 찾아서 프로세스를 종료시킴으로 오류해결 먼저 cmd창 열기 netstat -a -o 명령어 입력 명령어 입력하면 프로토콜 / 로컬 주소/ 외부 주소/ 상태 / PID 저기서 0.0.0.0.:2000 번을 찾아서 포트를 죽인다. (위에 사진엔 2000포트가 없습니다!) taskkill /f /pid 입력 포트에 PID를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그럼 문제해결 많이 쓰이지는 않는거 같지만 알아두면 좋은 방법입니다.

ITstudy 2022.09.16

REST, REST API, RESTful에 대해서 이해하기!

목표 REST의 개념 이해 REST의 특징 이해 REST API의 개념을 이해 REST API의 설계 규칙을 이해 RESTful의 개념을 이해한다 REST의 개념 REST란 REST의 정의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 자원을 표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를 주고 받는 모든것을 의미 즉 자원(resource)의 표현(representation)에 의한 상태 전달 월드 와이드 웹(www)과 같은 분산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아키텍처의 한 형식 REST는 기본적으로 웹의 기존 기술과 HTTP프로토콜을 그대로 활용하기 때문에 웹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아키텍처 스타일이다. REST는 네트워크 상에서 Client와 Server사이의 통신 방식 중 하..

ITstudy 2022.09.05

Encoding , 유니코드 , UTF-8 에 대해서......

Encoding 개념과 유니코드 , UTF-8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Encoding 이란? - 정보의 형태나 형식을 다른 형태나 형식으로 변환하는 처리 혹은 처리방식 이라고 이해를 합니다. === 즉,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식으로 바꾸어주는것 - 인코딩의 종류에는 ASCLL,URL,HTML,BASE64,MS Script 등이 있다. === (이부분은 나중에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Unicode(유니코드)란? - 즉 네트워크가 인터넷이 발전하면서 다른외국 사이트에 들어가는 일이 잦아졌고 언어가 깨진 상태로 나오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나서 국제적으로 전세계 언어를 모두 표시할 수 있는 표존 코드를 만들기로 했고 그것이 바로 Unicode입니다. 유니코드 약속된 코드 표기법이 있다. unicode ..

ITstudy 2022.02.28

MySql 자료형과 옵션 (Data Types and Options)

MySQL은 오픈 소스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Ralational DBMS) 입니다. MySQL의 기초 개념은 - TABL(테이블) : 데이터를 기록하는 최종적인 곳 - Schema(스키마) : 데이블들을 모아 놓은 곳 - 데이터베이스(Database) : 마찬가지로 테이블들을 모아 놓은 것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al Database) : key : value 들이 간단한 관계를 테이블화 시킨 데이터 베이스 - SQL (Structrued Query Language)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 설계된 특수 목적의 프로그래밍 언어 - 쿼리(Query) : 데이터베이스에 정보를 요청하는 것. 질의 라고도 합니다 MySql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초 개념으..

ITstudy 2021.09.10

URL 대해서 분석 & 이해

오늘은 URL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도메인(Domain) ?도메인은 IP 주소를 갖는 서버를 사용자가 쉽게 기억하고 찾을 수 있도록 만들어준 서비스 입니다. 실제 컴퓨터와의 통신에서는 숫자로 표현된 주소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를 변환시켜 줄 네임 서버가 필요합니다.  즉 우리가 기억하기 쉽게 만들어주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대표적으로 naver , daum 우리가 모두 기억하는 도메인 이지만 실제 고유 IP번호를 가지고도 있습니다. URL(Uniform Resource Locator) ?URL은 도메인을 포함한 경로 입니다 사용자가 도메인 서버로 접속 할 떄 , 프로토콜과 서비스 타입을 통합적으로 적어준 것이라고 볼수있다.  예를 들어 이렇게 분류 될수 있습니다.https://www.naver.co..

ITstudy 2021.09.05

캐시와 쿠키에 대해서 알아봐요!

제가 다니는회사에서 프론트단에서 관리하는 큰규모에 사이트가 있었습니다. 그 사이트를 유지보수를 하다보면 여러가지 이슈들이 있었지만 그중에서도 캐시(cache)문제 트래픽(traffic)문제가 있었다. 나도 이해를 잘못하고 기획팀 디자이팀에게도 설명할 정도에 수준이 안되어서 다같이 힘들었던 기억이 있습니다........그래서 cache & traffic 대해서 알아봅시다! 캐시 & 쿠키를 사용 하는 이유? 쿠키를 사용 하는 이유? 쿠키와 캐시를 사용하는 가장큰이유는 서버가 사용자에게 빠른 검색 결과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 입니다. 웹 사이트를 돌아다니다보면 아이디를 기억하고 있는 사이트 또는 전에 검색한 키워드 들이 저장되어 있는 경험을 해본신적이 있을겁니다. 그럴수 있었던 이유는 본의 즉 client 컴..

ITstudy 2021.07.19